Proxmox에서 VM 생성하기

먼저 Proxmox 웹 인터페이스를 열고 우측 상단의 VM 생성을 누르세요.

VM을 생성하는 창이 뜨면 이름을 지정하고 부팅 시 시작 항목을 선택하세요. (원하는 경우 VM ID를 100 이상의 숫자로 바꾸거나 이름을 생략하고 넘어가도 돼요)

기본적으로 선택된 CD/DVD 디스크 이미지 파일(ISO) 사용ISO 이미지에서 설치를 원하는 OS의 ISO 이미지를 선택하고, 게스트 OS에서 유형과 버전을 올바르게 선택하세요. 이 가이드에서는 Linux를 에를 들어 설명할게요.

Info

대부분의 Linux 종류는 Linux, 6.x - 2.6 Kernel을 선택하고 Windows라면 Windows를 선택 후 OS 버전에 맞게 선택해야 해요.

Windows를 사용할 예정이라면 하단에 표시되는 VirtIO 드라이버용 드라이브 추가를 선택하세요.

GUI를 사용하는 OS라면 그래픽 카드VirtIO-GPU로 선택하고 아니라면 기본 상태로 두세요.

나머지는 아래 사진과 동일하게 하면 돼요.

디스크는 아래 설명을 참고하여 설정하는게 좋아요:

  1. 버스/디바이스: IDE, SATA, VirtIO Block, SCSI가 있으며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SATA 또는 SCSI를 사용해요. SCSI를 사용하는 경우 SCSI 컨트롤러가 고정값으로 생기며 Windows를 설치할 목적으로 VM을 생성하고 있다면 SCSI는 설치 과정에서 드라이버 로드가 필요해요.

  2. 스토리지: 기본적으로 local-lvm가 선택되며 별도 디스크를 LVM이나 LVM-Thin 등으로 추가한 상황이라면 해당 디스크를 선택해도 돼요.

  3. 디스크 크기: VM에서 사용할 저장 공간의 크기를 의미해요. 스토리지에서 선택한 디스크의 용량 내에서 설정하면 돼요. (여기서 디스크 용량은 SSD/HDD의 전체 용량이 아닌 local-lvm에 할당된 크기를 의미해요)

  4. SSD 에뮬레이션: SSD에 VM을 생성하는 경우라면 해당 기능을 사용할 수 있으며 HDD의 경우 의미 없는 설정이에요.

이외에도 다양한 설정들이 있지만 내용이 많은 관계로 다루지 않을 거에요.

이제 CPU를 설정할 차례에요. 소켓은 기본값인 1로 설정하고 Cores는 현재 설치된 CPU의 코어 수 내에서 자유롭게 설정하세요. 유형은 기본값인 x86-64-v2-AES로 둬도 작동상에 문제는 없지만, 가능하면 host로 설정하세요.

메모리의 경우 현재 장착된 RAM의 용량 내에서 설정해야 하며 Windows의 경우 4096 MiB 이상, Linux의 경우 2048 MiB 이상 하는 게 나아요.

메모리 발루닝 디바이스는 선택된 상태로 두는 것이 좋아요.

Info

GB를 MiB로 변환하려면 이 사이트를 사용하세요. 바이너리로 변환된 값을 사용하면 돼요.

마지막으로 네트워크만 설정하면 끝나요. 필요에 따라 모델을 VirtIO (반가상화)가 아닌 다른 것으로 설정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용자는 변경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넘어갈게요.

지금까지 설정한 항목들이 맞으면 마침을 눌러 끝내세요. VM이 자동으로 시작되길 원한다면 생성 후 시작을 선택하고 마침을 누르면 돼요.

최종 업데이트: 2025년 5월 12일 16시 25분 15초
저자: kmw0410